Sunday, December 21, 2008

Capitalized Common Nouns: Divinity

영어에서 신성을 표시하는 일반 명사나 대명사는 대문자로 시작한다. 아버지를 소문자가 아닌 대문자로 시작해서 Father 로 쓰면 그것이 일반적인 '아버지'가 아니라 기독교의 '하나님 아버지'임이 표시된다. 간단한 문법적 '약속'이지만 문예 텍스트의 번역에서는 간혹 난점을 제시할 제기할 때가 있다.

아나 악흐마토바 안나 아흐마토마 Anna Akhmatova
"레퀴엠" 중에서 '못박힘'이라는 시는 한 좋은 예를 보여준다.

Crucifixion

"Do not weep for Me, Mother,
I am in the grave."


1
A choir of angels sang the praises of that momentous hour,
And the heavens dissolved in fire.
To his Father He said: "Why hast Thous forsaken me!"
And to his Mother: "Oh, do not weep for Me..."

2
Mary Magdalene beat her breast and sobbed,
The beloved disciple turned to stone,
But where the silent Mother stood, there
No one glanced and no one would have dared.


못박힘

"저로 인하여 울지 마세요, 어머니,
저는 무덤 속에 있음이니다."


1
천사의 성가대는 그 중요한 시간의 찬양을 불렀고
하늘은 불에 녹아들었다.
그는 아버지에게 말했다. "왜 저를 버리셨나이까!"
그리고 어머니에게 말했다. "아, 저로 인하여 울지 마세요..."

2
막달라 마리아는 가슴을 치며 흐느꼈고
그의 사랑하는 제자는 돌이 되었는데
말없는 어머니가 서 있는 곳, 그곳은
아무도 쳐다보지 못했다. 아무도 감히 그러지 못했으리라.

Father 를 '아버지'라고 번역해도 문맥으로 미루어 기독교의 '하나님 아버지'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아버지'라고 하면 대문자로 시작하는 Father 의 영어 문장 속에서의 자연스러움이 없다. "그는 아버지에게 말했다."만을 떼어 놓고 보면 '아버지'에서 신성神性을 알 수 있는 길이 전혀 없다. 'Mother -> 어머니' 그리고 'He, Me -> 그 (예수), 저' 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이 명칭들에 신성神性을 실을 수 있는 말, 그래서 문맥에서 분리시켜 놓아도 일반적인 의미로 쓰이지 않았음을 표시해줄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이같이 일반적인 낱말의 뜻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영어에서는 어형 morphology, 즉 문법 범주 grammatical category 에서 가능하지만 한글의 경우는 다르다. 따라서 어휘 범주 lexical category 로 해결할 방법을 모색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방향을 세우고, SL Source Language 의 어의語義 lexical meaning 를 가진 단어나 문구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은 말이 있을 것이다.

Father -> 성부聖父, or 하나님 아버지.
Mother -> 성모聖母, or 성모 마리아.
He, Me -> 성자聖子, or 예수. ('Me': 1인칭 목적어의 경우, '저', '나'로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인자人子라는 말을 써서 3인칭으로 자신을 일컫도록 번역하는 방법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런 생각에 이르게 되면 위의 번역 초고는 수정을--앞으로 여러 번 있을지 모를 수정을--거치게 된다.

_________________


Anna Akhmatova
(1889-1966)

No comments:

Post a Comment